[호주 치대 인터뷰 합격 후기] 적중률 100% 인터뷰 예상 질문과 답변 PART 2. About regional dentistry + Why our school
[호주 치대 합격생의 인터뷰 꿀팁] 적중률 100% 인터뷰 예상 질문과 답변 시리즈
PART 1. About yourself + Why dentistry
PART 2. About regional dentistry + Why our school
PART 3. Ethical practice
PART 4. Problem solving
호주 치대 중 몇몇 학교는 입학 시 인터뷰를 봐야 한다. 나도 인터뷰를 봤던 학교가 있고, 합격했던 경험이 있어 몇 가지 인터뷰 팁을 공유하고자 한다.
가장 먼저 추천하고 싶은 것은 Med Students Online이라는 웹사이트이다. 호주에서 의치대를 준비하는 학생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웹사이트인데, 학교마다 포럼이 따로 있으며, 시험공부 방법이나 시험 자료, 입학 커트라인 등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사이트이다.
본인이 원하는 학교 포럼을 참고하면 입학을 위한 대략적인 가이드라인을 잡을 수 있다. 위의 포럼에서 조금 더 작은 가지로 나온 호주 치대 대학별 포럼도 있다. (Dentistry Specific University Forums) 본인이 원하는 대학의 포럼을 참조하며 인터뷰를 준비하면 좀 더 수월하다.
Specific University Forums
Register with us Please consider registering on MSO. Benefits of registering are: Able to post and participate in the forum After 10 posts: Private Message Other Users After 25 posts: Access to the Chatbox After 100 posts: Custom user titles and Ad-free ex
medstudentsonline.com.au
사실 내가 인터뷰 오퍼를 받았을 때, 학교에서 보낸 오퍼 레터에는 '인터뷰에서는 대비가 불가능한 다양한 질문들을 물어볼 예정'이라고 쓰여 있었다. 절대 아니다. 호주 치대 인터뷰에서 물어볼 질문들은 대부분 예상이 가능하고, 답변 역시 미리 준비할 수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이 메일에도 인터뷰에서 어떤 부분에 중점을 둘 것인지 나와있었다!
나는 인터뷰 오퍼 레터를 받고 나서 위에 언급한 웹사이트를 뒤져 여러 학교의 인터뷰 기출문제를 찾아보았고, 이를 토대로 인터뷰를 준비했다. 앞으로 총 4개의 글에서 내가 주제별로 추린 인터뷰 질문들과 그에 대한 답변을 공유할 예정이다. 나는 각 주제의 질문들에 대한 답변은 키워드 위주로 준비했고, 키워드마다 나만의 설명과 경험/예시로 살을 붙였다.
🌟호주 치대 인터뷰 꿀팁 PART 2🌟
About regional dentistry + Why our school
호주에서 의료직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누구나 한 번쯤 배우고 듣겠지만, 호주는 도심 지역과 도심 외 지역은 인구 데모그래픽과 또 그에 따른 건강상태 격차가 눈에 띄게 큰 편이다. 당신이 호주 이민을 고려해 봤다면, 호주 정부도 늘 이 "regional area"에 젊은 사람들 혹은 전문직군을 더 유치하기 위해 상당히 노력하고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치대도 마찬가지다. 학사과정을 제공하는 총 6개의 호주 대학교 중 퀸즈랜드 대학교와 그리피스 대학교를 제외한 나머지 대학은 전부 중심지가 아닌 지역에 위치해 있다. 그래서 특히 더 중요한 이번 파트 2!
꼭 대학 입시를 위해서가 아니라, 본인이 호주에서 의료 직종에 종사하고 싶다면 한 번쯤 고민해 볼 주제라고 생각한다.
1. About "regional area"
- How would you define what a regional area is?
치대 인터뷰라는 특수성을 생각하면 이 질문에서 듣고자 하는 답은 단순히 시골지역에 대한 사전적 정의가 아닐 것이다. 단순히 도심에서 벗어난 지역이라는 사전적 정의가 아닌, 그 지리적 특수성에서 생겨나는 사회적인 특수성을 언급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내가 생각했을 때는 도심에서 떨어진 지역은 인구 밀도가 현저히 낮기 때문에 거기서 오는 의료 서비스에 대한 제한성이 제일 큰 문제였다. 그리고 이런 전문직들을 시골로 유입시키기 어려운 이유는 상대적으로 낮을 퀄리티의 하우징과 교육환경 그리고 또 거기서 따라오는 비선호도 때문일 것이다.
답변을 준비할 때, 단순히 사전적 정의를 암기하는 것이 아니라 이런 여러가지 특수성들을 고려하고 각각의 문제점들 사이의 연결점을 찾을 수 있다면, 본인이 진정으로 이 문제에 어느 정도 관심이 있는지를 표현할 수 있고, 답변에 구체적인 사례를 포함하면 신뢰감을 줄 수 있다.
내 경우엔 내가 시드니에서 살았던 동네의 CBD에 치과가 몇 개 있는지, 그리고 인터뷰를 본 학교가 위치한 시골 지역 시내에 치과가 몇 개 있는지를 찾아보았었고, 이를 중심으로 위의 뼈대에 살을 붙여 답변을 준비했었다.
- What communities within the regional/rural areas are more vulnerable?
여기서 말하는 취약 계층은 크게는 애보리지널, 작게는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사람들 혹은 고등교육을 받지 않은 사람들이 될 것이다. 애보리지널 커뮤니티에 대해서 얘기하자면 배경지식이 좀 필요한데, 호주의 역사적 맥락에서 애보리지널 커뮤니티가 어떻게 차별을 받았는지, 그 결과 어떤 건강 격차가 발생했는지 언급해야 할 수도 있다. 여기에 그 배경을 다 적자니 글이 너무 길어질 것 같아 생략한다. 사회경제적 취약 계층은 저소득층, 고령자, 낮은 교육 수준을 가진 사람들을 포함하고 이들 역시 의료비 부담과 정보 부족으로 인해 충분한 의료 서비스를 받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이 질문에 대답할 때 강조해야할 점은 이 취약계층들은 만성 질환 발생률이 높고, 의료 서비스에 대한 신뢰 부족으로 예방 치료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그리고 치과치료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충치는 예방이 가능한 질병이다. 중요. 별표 딱. 비록 질문은 '어떤 커뮤니티가 취약 계층인가요?' 이지만, 답변의 초점은 이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접근 방식이다.
나는 이 취약 계층에 대한 나의 배경 지식과 더불어 왜 시골 지역에서 의료인의 역할은 단순히 치료를 제공하는 것으로는 충분하지 않은지, 왜 지역 주민들에게 신뢰를 쌓는 것이 중요한지, 왜 예방 치료의 중요성을 교육하는 것이 필수적인지, 그리고 이런 것들이 어떻게 이 지역 전체 커뮤니티의 건강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되는지를 중점적으로 설명했었다.
(참고로 덧붙이자면, 시골이라고 모두 가난하지는 않다. 호주는 농업이 발달한 나라기 때문에 크게 농장을 하는 가구들은 수입이 어마어마하다.)
- How much do you know about the health inequality between rural and urban areas?
그렇다. 앞선 질문들에서 듣고자 했던 궁극적인 내용은 바로 이 질문에 대한 답이다. 다만, 나는 이미 앞선 질문들에서 자세히 답변했으니, 이 질문에 대한 답변은 자연스럽게 포함되었다. 이 질문이 리스트에 있는 이유는 앞선 질문에서 수박 겉핥기 식인 사전적인 답변만 했을 때, 면접관이 직접적으로 질문해야 했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당신은 이 글을 읽었으니 이미 첫 질문부터 수준 높은 답변을 할 준비가 되었다!
2. About "regional dentistry" + your personal experience and perspective
- Have you experienced/lived in a rural area?
이건 왜 묻는걸까? 보통 한 번도 살아보지 않았다고 하면, 그 경험에서 오는 편견에 대해 궁금할 것이고, 살아봤다고 하면 내 인식이 궁금할 것이다. 살아본 경험이 있다면, 그 경험이 당신의 관점과 가치관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구체적으로 이야기하면 된다. 살아본 경험이 없다면, 여행이든 잠깐 지나갔던 경험이든 떠올려 답변을 준비해 보자. 아니요, 안 살아봤는데요. 땡. 이러면 안 되는 거... 당연히들 아시겠지...?
여기서 중요한 것은 경험이 있든 없든 상관없이 답변의 핵심은 지원자가 지역 의료의 특수성을 얼마나 깊이 이해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어떤 태도와 계획을 가지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나도 한국에서도, 호주에서도 막 시골에 살았던 적은 없다. 다만 시드니 대학교에서 방사선과 재학 중일 때, 시골지역 실습이 필수였는데, 이 때 6주간 시골 병원에서 실습을 했던 적이 있었다. 내 답변은 이때의 경험을 바탕으로 준했는데, 나는 이 실습지에서 의료 장비와 인프라의 부족을 경험했고, 이는 도심 병원과의 큰 차이를 체감하게 했다. 예를 들어, 시드니의 대형 병원에서는 첨단 장비를 활용한 진단이 가능했지만, 내가 실습했던 시골 병원에서는 기본적인 영상 장비만 있었고, 그마저도 수리가 지연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로 인해 환자들은 전문적인 진단을 받기 위해 몇 시간 동안 차를 타고 도심으로 가야 했으며, 이는 치료 지연으로 이어지곤 했다.
이 경험을 통해 배운 것 역시 1번 질문들에 대한 답변과 같은 맥락으로 이어졌다. 즉, 시골 지역에서 일하는 의료인의 역할이 단순히 치료를 제공하는 것을 넘어, 제한된 자원으로 최선의 결과를 만들어 내는 창의적 접근과 지역 주민들과의 신뢰 형성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강조했다.
- What are some of the challenges a new dentistry graduate might face working in a regional part of Australia?
이 질문은 포괄적으로 보이지만 사실 당신이 얼마나 진지하게 이 진로를 생각해 보았는지 묻는 것이다. 시골에 있는 학교 입장에서는 학생이 졸업 후의 진로를 생각해 봤는지, 졸업 후에도 이런 도심 외 지역에서 의료인으로 살 의향이 있는지가 꽤나 큰 관심사이다. 그러니 당연히 이런 현실적인 부분에 대해 고려를 하고 이 진로를 택했는지 알 수 있는 질문은 반드시 포함될 것이다. 중요한 점은 단순히 문제를 나열하는 데 그치지 않고, 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법을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내가 생각했을 때 뉴그랫으로 시골에서 일하게 된다면 겪게 될 문제들은 크게 인프라 부족과 환자와의 문화적 차이였다.
시골 지역에서는 최신 치과 장비나 전문 기술 지원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 졸업생으로서 최신 기술이나 장비를 활용할 기회가 제한될 수 있지만, 이러한 상황에서도 환자에게 최적의 치료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기본적인 치료 기술과 창의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발휘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여기에서 다음 주제인 '왜 우리학교 인가요?'에 대한 답을 자연스럽게 연결 지어도 좋다. 시골 지역에 있는 학교는 학생들이 졸업 후 인프라가 부족한 시골에서 일해도 문제없도록 교육 커리큘럼을 짠다. CSU의 경우, 기공 수업이 다른 학교에 비해 유달리 많은데, 이는 대부분의 치과 기공소가 시드니에 있고, 작은 시골 동네일수록 치과의사가 직접 기공일을 하는 경우도 왕왕 있기 때문이다.
호주 이민자인 내 입장에서 겪을 또 다른 문제는 바로 시골로 갈수록 환자와의 문화적 차이가 심해진다는 것이었다. 호주에서 동양인들은 도심 특정 지역이 몰려 살고, 시골에는 대부분 백인과 애보리지널 인구가 많다. 하지만 내가 늘 이 문제에 맞닥뜨리면 쓰는 답변이 있다. 바로 나도 소수민족 배경이라는 것. 내가 살면서 겪은 어려움, 고민들을 바탕으로 애보리지널 환자들이 겪을 고민을 공유할 수 있고 더 잘 대처할 수 있다는 점이다.
- After graduating from dentistry at CSU, what can you do to help diminish the health gap for rural and regional areas?
이 질문에 역시 위의 질문과 마찬가지로 당신이 얼마나 진지하게 이 진로를 생각해 보았는지 묻는 것이다. 여기서는 구체적인 예시를 포함하여 자신의 목표와 계획을 설득력 있게 설명하는게 유리하다. 나의 경우에는 예방 치료 교육과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예시로 들었다. 사실 여기서 실현 가능성이 얼마나 있는지는 직접 치과의사로 시골에서 근무하지 않는 이상 정확히 알 수 없는게 현실이다. 다만, 막연하게 나마 이런 부분까지 생각해보고 치대에 지원했다는 데에 답변의 초점을 맞추면 된다.
3. Why our school?
- How would the rural and Indigenous focus at CSU benefit you?
- What does our school ethos phrase mean to you and how does it relate to you in terms of the communiites you are involved in?
- Which of our school values (insightful, inclusive, impactful, inspiring) would you pick?
왜 우리학교인가요? 에 대한 답은 늘! 학교 홈페이지에 있다. 이 글을 읽는 독자분들이 인터뷰를 볼 학교 홈페이지도 들여다보지 않고 시험장에 들어가지는 않겠지... (설마)
학교 홈페이지에서 그 학교의 역사는 물론이고 학교가 세워진 지역의 애보리지널 땅 이름, 학교에서 중점을 두는 가치 등을 모두 찾아볼 수 있다.
특히 에보리지널의 땅에 자리잡은 호주는 모.든. 공공기관에서 해당 기관이 어떤 애보리지널 민족의 땅이었는지, 그들이 추구하던 가치는 무엇이었는지 그들의 언어로 표기한다. CSU 역시 "Wiradjuri" 라는 애보리지널 민족의 땅에서 그들이 추구하던 "yindyamarra winhanganha (To live with respect in a world worth living in.)" 가치를 존중함을 바탕으로 운영한다. 여기는 개인적인 경험이나 생각을 잘 우려내서 답변을 준비하면 된다. 중요한 것은 이것들을 찾아보았고 생각해보았음을 명확히 보여주면서 당신도 학교의 이념을 존중하고 있음을 답변에 잘 녹여내는 것이다.
휴... 드디어 긴긴 글이 끝났다. 조금 쓰고 멈췄다 다시 쓰고를 반복하며 벌써 몇주가 지났는지 모르겠다.
다음 파트를 쓰기 위한 응원의 한마디, 부탁드립니다.